공학/방법론

스크럼

둥둥잇 2014. 10. 27. 02:07


* 스크럼

- 애자일 방법론

- 추정 및 조정 기반의 경험적 관리 기법



* 스크럼의 역할자

- 제품 책임자 : 제품 기능의 우선 순위 조정 / 계획 수립 후 최대한 관여 x

- 스크럼 마스터 : 스크럼 팀의 업무 방해 요소 제거 등 개발 지원

- 스크럼 팀 : 보통 5~9명 / 스프린트 동안 기능 구현







* 스크럼 프로세스

- 스프린트 : 1~4주의 반복개발기간

- 3가지 미팅 : 일일 스크럼, 스프린트 계획, 스프린트 리뷰

- 3가지 산출물 : 제품 백로그(제품 기능목록), 스프린트 백로그, 소멸 차트


* 산출물

- 제품 백로그 : 제품 책임자가 주로 우선순위 결정

- 스프린트 백로그 : 하나의 스프린트 동안 개발할 목록 / 사용자 스토리와 이를 완료하기 위한 작업 = 태스크

- 소멸차트 : 개발을 완료하기 까지 남은 작업량을 보여주는 그래프








* 특징

- 투명성

- 타임박싱

- 커뮤니케이션

- 경험주의 모델




+ 내가 생각하는 단점

: 산출물을 만드는게 시간을 쏟지 않지만 서로 대화를 많이 하므로 집중도는 떨어질 가능성도 있을 듯

  스크럼을 이끌거나 참여하는 사람들의 경험이 일단은 많아야 하므로 초보 프로젝트에는 적합하지 않을듯


+ 하지만 진짜 커뮤니케이션 할 기회는 많아서 좋은듯. 같은 팀이든 고객이든





출처 : '애자일 SW 개발 101' NIPA 소프트웨어공학센터